건설 현장, ‘하루 2명’ 이미 예고된 죽음 _딥스텝 포커협회_krvip

건설 현장, ‘하루 2명’ 이미 예고된 죽음 _아이폰 블루투스 포커 할 수 있어_krvip

<앵커 멘트> 자고나면 새 건물이 들어서는 대한민국. 건설 강국이라 해도 손색이 없죠. 하지만 그 이면에는 하루 두명 꼴로 건설 노동자들이 소중한 목숨을 잃고 있습니다. 탐사 보도팀 이진성 기자가 실태와 문제점을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밤 8시가 넘은 시각, 12층 높이의 공사 현장. 노동자 2명이 안전장비 하나 없이 폭이 겨우 30센티인 H빔 위를 오갑니다. <녹취>현장 노동자 : "저기서 사고가 난다는 것은 거의 낙하 추락 사고입니다. 추락사고는 거의 90% 이상이 사망으로 이어집니다." 지난해 산재를 당한 건설 노동자는 노동부 공식 집계로 만9천여 명. 하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상당수의 부상자가 산재 대신 건설업체와 치료 비용을 합의하는 이른바 공상 처리를 하기 때문입니다. <녹취>현장 노동자 : "주변에서 다 공상 처리를 했지 산재 처리한 경우 못봤습니다. 사망사고가 아닌 한은 거의 건설현장에서는 공상처리를 한다고 보시면 될 겁니다" 은폐되는 건 부상자만이 아닙니다. 지난달 초 탐사보도팀은 제보를 받고 사망 재해 현장을 찾았지만 건설사 직원들은 입구부터 가로막았습니다. <인터뷰>안전관리자 : "경찰도 못 오게 합니다. 못 들어가게 하고. 안전 시설물이 안 되어 있으면 안전 시설물 조치를 다 해 놓습니다." 지난 10년간 재해로 숨진 건설 노동자는 한 해 평균 658명, 날마다 2명꼴입니다 건설 노동자 만 명당 사망률은 영국이 0.4명 미국이 1.09명, 일본이 1.12명인데 비해 우리나라는 2.48명으로 월등히 높습니다. 그럼에도 사망재해에 대한 처벌은 솜방망이 수준입니다. 사망 산재에 대한 1000대 기업 전체의 무혐의 비율은 45%였고 특히 10대 대형건설사는 73%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 <인터뷰>박두용(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 : "처벌을 하지 않으면 당연히 그런 책임을 회피하게 되는 것이죠. 안하게 되죠. 이게 악순환처럼 반복되는 게 아니겠습니까?" 안락한 거주 공간과 편리한 기반 시설을 만들어 내는 건설 산업. 정작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죽음을 넘나드는 위험 지대에 내몰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진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