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감사에 검찰 수사까지…숨 죽인 해경_팔 카지노 문신_krvip

감사원 감사에 검찰 수사까지…숨 죽인 해경_슬롯과 통통한_krvip

세월호 참사를 수사하고 있는 검찰의 칼끝이 해경을 향하고 있다.

합동수사본부는 지난 15일 세월호 선장과 선원 등 15명을 살인과 유기치사 혐의로 재판에 넘겼다. 이후 검찰은 해경을 배제한 채 별도의 수사팀을 꾸린 것으로 알려졌다. 해경의 미흡한 초동대처와 각종 의혹들을 집중 수사하기 위해서다.

감사원도 수사와는 별개로 해경의 신고 접수와 구조 활동 등에 대한 감사를 벌이고 있다. 검찰과 감사원의 협공에 해경은 그야말로 ‘사면초가’신세다.

◊ 구조 나선 해경 경비정, 왜 선체 진입 안했나?



사고 당일(4월16일) 오전 9시30분쯤 목포해양경찰서 소속 경비정인 123정(100t급)이 처음으로 사고 현장에 도착했다. 경비정에는 모두 14명의 승조원이 탑승하고 있었고 상공에는 헬기 3대도 떠 있었다. 당시 세월호는 좌현으로 45~50도 정도 기울어진 상태였고 3~5층의 좌현은 아직 물에 잠기기 전이었다.

하지만 해경은 적극적인 구조에 나서지 않았다. 바다로 뛰어내리거나 선체 밖으로 몸을 내민 승객들만 구조할 뿐 선체에 진입하거나 선내 승객들을 향해 대피 명령을 내리지는 않았다. 오히려 조타실 인근에서 선장 등 승무원을 먼저 구조한 것으로 밝혀졌다.

18일 공개된 목포해경·서해지방경찰청과 해경 123정 간 교신내용을 보면, 당시 123정은 지휘부로부터 선내 진입을 지시받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123정은 “세월호 선체가 많이 기울어져 있어 진입이 어렵다”는 말만 되풀이한 것으로 확인됐다. 123정이 선장과 선원을 구할 당시에도 세월호 객실 3~5층은 물에 잠기지 않았다.

지휘부의 지시대로 누군가 선내에 진입해 승객의 퇴선을 유도했다면 많은 인명을 구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세월호는 오전 10시 31분 선수 일부분만 남긴 채 물속으로 가라앉고 말았다. 당시 해경이 구한 것으로 알려진 80여 명 가운데 헬기 구조와 선원 구조를 제외하면 실제로 구한 승객은 20여 명에 불과하다. 해경의 소극적이고 부실한 대처가 비난받는 이유다.

감사원은 지난 14일부터 검찰 수사와는 별개로 해경의 부실 구조 등에 대한 감사를 벌이고 있다. 관련해 123정 직원과 의경 등 14명이 오늘(19일)부터 감사 조사를 받게 된다. 이들은 서해지방 해양경찰청에 마련된 감사원 감사장에 출두, 매뉴얼에 따른 초동 대처를 했는지 등을 조사받을 예정이다. 123정은 세월호 실종자 수색업무에서 배제됐다.

◊ 관제 업무 소홀히 한 진도 해상교통관제센터(VTS)



사고 당일 오전 8시48분, 세월호는 오른쪽으로 45도 가량 급격한 변침을 했다. 하지만 당시 세월호에 대한 관제를 맡은 진도VTS는 이를 전혀 알아차리지 못했다. 이후 세월호의 속도가 급격히 떨어졌지만 이 또한 파악하지 못했다. 결국 진도VTS는 세월호가 처음에 교신한 제주VTS에서 연락을 받고서야 뒤늦게 급선회와 사고 사실을 알았다. 변침이 시작된 이후 18분이나 지난 오전 9시6분이었다.

이에 대해 김형준 진도 해상교통관제센터장은 지난달 24일 브리핑에서 "넓은 관제구역에 비해 적은 모니터로 관제를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며 “관제구역에는 160척 이상의 선박이 있어 순간적으로 일어난 상황을 모두 확인 할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 사실상 ‘부실한 모니터링’을 인정한 것이다.

검찰은 지난달 목포해경 상황실과 진도VTS 등을 압수수색해 근무일지와 교신 녹취록 등을 확보하고 분석 중이다. 조만간 관제 업무를 소홀히 한 진도VTS 직원도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 앞서 감사원도 이틀간 현장 조사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 결과에 따라 직무유기뿐만 아니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까지 염두에 둔 것으로 전해졌다.

◊ 해경-언딘 유착 의혹도 중요 수사 대상



실종자 구조·수색작업에 투입된 민간업체 ‘언딘 마린 인더스트리’와 해경 사이의 유착 의혹도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언딘은 세월호 침몰사고 당일 선사인 청해진해운에 의해 이번 사고의 구난업체로 선정됐다.

하지만 언딘의 대표가 해경의 법정단체인 한국해양구조협회의 부총재 중 한명이라는 점이 알려지면서 해경이 업체 선정 과정에 입김을 넣은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특히 청해진해운이 사고 당일 다른 업체를 투입하려고 했다가 언딘과 계약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의혹은 더욱 커졌다.

초기 수중 수색 과정에서 언딘이 해군이나 민간 잠수요원의 투입을 방해했다는 의혹도 밝혀야 할 과제다.

이 같은 의혹은 지난달 23일 수색에 참여했던 민간 잠수사들이 기자회견을 통해 구조당국이 수색 참여를 막았다고 주장하면서 더욱 불거졌다.

해경이 언딘을 위해 해군 특수요원들의 수색작업을 막았다는 해석이 가능한 국방부 자료가 국회에 제출되기도 했다.

국방부는 파문이 일자 뒤늦게 “해경이 효율성을 위해 잠수 순서를 정한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의혹은 여전한 상황이다. 이밖에도 언딘이 민간잠수사들의 수색 성과를 가로챘다는 등 언딘과 해경과의 유착 의혹은 끊이지 않고 제기됐다.

양 측이 강력하게 부인하고 있지만 검경 합동수사본부가 세월호 관련한 모든 의혹을 수사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의혹이 계속된다면 수사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